[Python 알고리즘] 백준 1931번 : 회의실 배정

2022. 2. 5. 22:27·Python 알고리즘
반응형

문제

  • 한 개의 회의실이 있는데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N개의 회의에 대하여 회의실 사용표를 만들려고 한다. 각 회의 I에 대해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져 있고, 각 회의가 겹치지 않게 하면서 회의실을 사용할 수 있는 회의의 최대 개수를 찾아보자. 단, 회의는 한번 시작하면 중간에 중단될 수 없으며 한 회의가 끝나는 것과 동시에 다음 회의가 시작될 수 있다.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같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시작하자마자 끝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입력

  • 첫째 줄에 회의의 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1 줄까지 각 회의의 정보가 주어지는데 이것은 공백을 사이에 두고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진다. 시작 시간과 끝나는 시간은 231-1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 Case 1
11
1 4
3 5
0 6
5 7
3 8
5 9
6 10
8 11
8 12
2 13
12 14

출력

  • 첫째 줄에 최대 사용할 수 있는 회의의 최대 개수를 출력한다.
# Case 1
4

내가 제출한 풀이 - 정답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strip())
n_list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trip().split())) for _ in range(n)]


n_list.sort(key=lambda  x: (x[1], x[0]))

end = n_list[0][1]
res = (0 if n_list[0][0] == n_list[0][1] else 1)

for item in n_list:
    if end <= item[0]:
        end = item[1]
        res += 1

print(res)

Tip

종료시간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하여 푸는 간단한 문제였다. 종료시간을 정렬하여 가장 먼저 끝나는 시간을 확인 후 그걸 가지고 있다가 다음 회의를 차례대로 봐 풀면 되는 문제였다.

n_list.sort(key=lambda  x: (x[1], x[0]))

저번 강의실 배정이랑 같은 맥락이라고 봐도 된다. x[1] : 종료시간을 기준을 잡되, 만약 종료시간이 같다면 시작시간 기준으로 정렬을 하는 것이다.

"""
    입력 :
    11
    1 4
    3 5
    2 5
    5 7
    3 8
    5 9
    6 10
    8 11
    8 12
    2 13
    12 14
"""

# lambda x: x[1] = 종료시간 기준
[[1, 4], [3, 5], [2, 5], [5, 7], [3, 8], [5, 9], [6, 10], [8, 11], [8, 12], [2, 13], [12, 14]]

# lambda x: (x[1], x[0]) = 우선순위 1. 종료시간 2. 시작시간
[[1, 4], [2, 5], [3, 5], [5, 7], [3, 8], [5, 9], [6, 10], [8, 11], [8, 12], [2, 13], [12, 14]]

종료시간 기준으로만 보게 된다면 [3, 5]가 [2, 5]보다 빨리 들어오게 된다면 제대로 된 정렬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종료시간과 시작시간을 둘 다 사용하여 정렬하게 되면 [3, 5]가 [2, 5] 뒤로 들어오게 된다.

res = (0 if n_list[0][0] == n_list[0][1] else 1)

"""
    1, 1 : if 1 <= 1은 True이기 때문에 +1
    1, 3 : if 1 <= 3은 False이기 때문에 +1을 하지 않았음.
    
    처음 강의실을 배정 받았을 때는 무조건 +1을 해줘야하기 때문
"""

입력에서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이 같은 게 들어오게 된다면 정상적으로 회의실 개수를 1개 늘리지만 다르게 된다면 회의실 개수를 1개 늘리고 시작하지 않게 된다.

반응형

'Python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알고리즘] 백준 2217번 : 로프  (0) 2022.02.06
[Python 알고리즘] 백준 11399번 : ATM  (0) 2022.02.06
[Python 알고리즘] 백준 11000번 : 강의실 배정  (0) 2022.02.04
[Python 알고리즘] 백준 1783번 : 병든 나이트  (0) 2022.02.03
[Python 알고리즘] 백준 10610번 : 30  (1) 2022.02.02
'Python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ython 알고리즘] 백준 2217번 : 로프
  • [Python 알고리즘] 백준 11399번 : ATM
  • [Python 알고리즘] 백준 11000번 : 강의실 배정
  • [Python 알고리즘] 백준 1783번 : 병든 나이트
seungyong20
seungyong20
  • seungyong20
    코딩 기록소
    seungyong20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51)
      • Python 알고리즘 (38)
      • 자료구조 (1)
      • Project 하면서 알아가는 것들 (12)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기록하는 습관을 기르자
  • 인기 글

  • 태그

    python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 추천
    spring boot
    JPA
    join fetch 주의점
    그리디 알고리즘
    fetch join 주의점
    jpa multiplebagexception
    jpa lazy vs eager
    python 백준
    Python
    kafka
    python 브루트 포스
    Typescript
    python 이코테
    python 2차원 배열
    백준
    python slicing
    python heap
    python 정렬
    python 방향벡터
    jpa fetch
    jpa eager
    python 그리디 알고리즘
    jpa 쿼리 최적화
    multiplebagexception
    jpa n + 1 문제
    python 그리디 문제 추천
    python 알고리즘
    multiplebagexception set list
    jpa 에러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seungyong20
[Python 알고리즘] 백준 1931번 : 회의실 배정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